50m 거리 USB 리피터 문제, LAN 케이블 리피터로 해결 가능할까?
이 문제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우선, LAN 케이블을 이용한 리피터와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:
랜선 품질: 저렴한 LAN 케이블(특히 CAT.6)은 전송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가격이 저렴한 랜선은 저항이 높고, 신호 손실이 더 크기 때문에 장거리 전송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**고급 랜선(CAT.6 이상)**을 사용하면 전송 품질이 향상될 수 있지만, 그것이 꼭 100% 해결책이 될지는 확신할 수 없습니다. 기본적으로는 전원 공급 문제가 크기 때문에 전원이 들어가는 리피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무전원 리피터: 무전원 리피터는 신호를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송 거리가 길어질수록 신호 손실이 발생하고, 이를 제대로 보정해줄 전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. 이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는 리피터를 사용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 전원이 공급되면 신호 증폭과 전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더 긴 거리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.
USB 리피터 케이블: 만약 USB 리피터 케이블이 가격이 부담되신다면, 랜선 리피터 대신 고급 랜선과 전원이 공급되는 리피터를 사용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. USB 리피터 케이블은 내장된 전원 회로 덕분에 장거리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지만, 랜선 리피터가 충분히 해결 가능하다면 굳이 비싼 제품을 선택할 필요는 없습니다.
해결책:
- **고급 랜선(CAT.6 이상)**을 사용하고, 전원이 공급되는 리피터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. 50m 정도의 거리에서는 무전원 리피터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.
- USB 리피터 케이블을 사용하기 전에 전원이 공급되는 랜선 리피터로 먼저 테스트를 해보세요. 일반적으로 USB 리피터 케이블은 편리하지만 비용이 많이 드므로, 랜선 리피터와 전원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일 수 있습니다.
결론적으로, 비싼 USB 리피터 케이블이 해결책일 수 있지만, 고급 랜선 + 전원 리피터로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으므로 그 방법을 먼저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.
댓글
댓글 쓰기